풀어쓰는 노동법률

유급휴일과 주휴일의 의미, 주휴수당 계산법

공공노무법인 대전지사 2022. 9. 8. 10:50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중소기업 사업주 전문 공공노무법인 대전지사입니다.

 

 

저희 대전의 노무법인은 대전노무사가 사업장의 근로조건을 파악하여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 글을 통해 유급휴일과 주휴일, 주휴수당 의미와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유급휴일이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하며,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정리하자면, 아래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주휴일이 발생하며, 주휴일은 유급입니다.

① 1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② 4주간 1주 평균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그렇다면 휴일제도는 왜 생긴 것일까요?

 

 

휴일제도의 취지

 

연속적 근로로 인한 피로회복과 근로자의 사회적·문화적 생활 보장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일요일을 주휴일로 지정해야할 필요는 없습니다. 유급휴일 = 주휴일이라고 말합니다.

 

*주휴일은 정해진 요일이 없고, 사업주와 근로자가 합의해서
일요일이 아닌 요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질문 1) 그러면 주휴수당은 어떠한 경우에 줘야 하나요?

 

 

질문을 답하기 전에 주휴수당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으신가요?

 

 

"1주에 15시간 일하면 주는 거 아니에요?"

 

 

맞습니다. 정확히는

 

주휴수당이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주는 제도로써,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그러나 업장에서 정한 근로일에 결근을 해서는 안됩니다.

 

*소정근로일에 지각이나 조퇴는 결근으로 보지 않으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지급 적용 제외 근로자
● 초단시간 근로자 : 주 15시간 미만인 근로자 혹은 퇴직으로 인해 계속 근로가 아닐 경우

 

그렇다면 임금에서 정말 중요한 주휴수당 계산은 어떻게 할까요?

 

주휴수당 계산법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 = 주휴수당이 나옵니다.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이 넘어도 주휴수당은 최대 8시간까지 가능합니다. 그 이상을 넘을 수 없습니다.

 


 

[문제 한 번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홍길동 씨는 빵집에서 월요일~토요일까지 하루 6시간씩 5일 근무 (시급은 10,000원)

주휴일은 일요일입니다.

 

이때 홍길동 씨의 주휴수당은 얼마일까요?

 


 

정답은 60,000원입니다.

6시간 × 5일 = 30시간 / 40시간 × 8시간 × 10,000원(시급) = 60,000원이 나옵니다.

30시간 =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
40시간 = 1주 법정근로시간

※ 1일 소정근로시간 × 시급도 가능합니다

 


 

오늘은 유급휴일과 주휴일, 그리고 주휴수당 의미와 계산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저희 공공노무법인 대전지사는 소상공인, 중소기업 전문 노무법인 근로계약서를 직접 대면하여 체결하고, 임금명세서 지급, 4대 보험, 정부지원금 대행을 하여 사업주분들에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대전을 중심으로 청주, 천안, 아산. 세종, 논산, 계룡, 공주, 전주 등 상주하고 있는 사무장이 있습니다.

정말 도움이 필요하신 사업주분들 한정하여 무료로 방문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아래의 번호로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1544-9346

반응형